구글 (유투브) 네이버 해킹 안당하는 법

 오늘 뉴진스님 (윤성호님)이 유투브 해킹당해서 어려웠다는 기사를 봤다.

사실 유투브(구글)은 해킹을 막는 방법이 잘 되어있다. 기술적으로는 거의 100% 막을 수 있다. 혹시 인생을 걸고 유투브를 하고 있다면 계정탈취를 당하지 않도록 아래 조치를 취해보자


A. 적어도 구글과 네이버는 패스워드를 다른 것과 분리해서 쓰자.

다들 어느 정도 패스워드를 통일해서 쓰고 있을 것이다. 구글이 해킹 당하지는 않아도, 동일한 id, password로 가입한 다른 사이트가 털린다. 얼마 전에는 gs 홈쇼핑이 해킹 당했다, 가입한 곳 중 어딘 가는 반드시 해킹 당한다고 생각하고, 패스워드를 홈페이지 격(?)에 따라서 적어도 3개 티어를 운용하자. tear 1 구글 네이버, tear 2 쿠팡 등 대기업 사이트, tear 3 소규모 의류 사이트 홈페이지


B. 2단계 인증 (2FA, two-factor, 이중 인증)을 쓰자. 혹은 password 말고 패스키(passkey)를 쓰자.

패스워드를 분리해도 사실 충분하지 않다, 누군가 당신을 타깃해서 작정하고 털려고 하면 1을 하더라도 소용없다. 그런 것을 대비해서 2단계 인증이 있다.

2단계 인증은 password를 입력하고 또 추가로 어떤 수단으로 한번 더 인증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추가 인증을 항상 해서 불편해서 못쓴다고 생각하고 있을 수도 있는데, 추가 인증을 새로운 컴퓨터에서 로그인할 때에 한정해서 하거나, 아니면 항상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새로운 컴퓨터에서 로그인할 때 한정하더라도 일단 사용하면, 내가 모르는 컴퓨터, 모바일 기기에서 로그인은 제한된다.

구글은 2단계 인증 방법 여러 가지를 지원한다.


1. 핸드폰에 push를 받기. 로그인 할 때 핸드폰에 알림이 와서 확인을 눌러야 로그인이 진행된다.

2. 갤럭시 핸드폰이면 samsung wallet에 패스키를 생성하고, 이것을 구글 로그인에 쓰기.

로그인 할 때 QR 코드가 뜬다. 핸드폰 카메라로 촬영해서 지문 인증 등 인증을 하면 로그인이 된다. 

3. 윈도우11 PC면 TPM이 보통 있을것이고, 이 TPM에 passkey를 저장할 수 있다. windows hello 로그인(pin 번호 로그인 등)을 써야 한다.
pin은 그 PC에서만 동작하는 그 PC 전용 암호라고 생각하면 좋다. 다른 PC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오직 그 PC 전용 암호.
패스키를 windows hello (TPM)에 추가할 경우 그 pc에서는 쉬운 암호를 써서 로그인 할 수 있다. 다만 윈도우11 이더라도 TPM이 없는 PC면 이 방법을 쓸 수 없다.

4. FIDO2를 지원하는 USB 보안키를 구매해서 쓰자. 물리적인 열쇠로 구글에 로그인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항상 USB 보안키를 들고 다니고 그 보안키를 꼽고 pin을 입력해서 로그인한다. (대표적으로 yubikey 가 있다.) 단점으로는 USB 보안키를 잃어버리면 로그인을 못하기 떼문에 5번처럼 OTP 발생기를 혼용해서 쓰거나, 애초에 USB 보안키를 2개 구입해서 하나는 집에두고 다른 하나를 들고다니는 식으로 해야한다. (네이버의 경우는 특이하게 동일회사 보안키 2개 등록을 못하므로 회사가 다른 2개를 구매한다.) 단점으로는 보안키를 국내에서 구하면 개당 약 10만원 정도한다. 2개 구매하면 보안 비용으로 20만원을 지출해야한다. 가장 강력한 방법이고, 혹시 보안키를 다른사람이 훔쳐서 로그인 하려고 해도 보통 pin을 10번 틀리면 키가 초기화된다. 보통 USB 보안키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가장 보안성이 높다고 본다.

5. 4에서 USB 보안키를 잃어버렸을 때를 대비해서 google authenticator 라는 OTP 발생기앱을 휴대폰에 설치하고 계정에 등록해서 쓸 수 있다. 다만 보안키도 잃어버리고 동시에 핸드폰도 잃어버리면 로그인을 못하게 된다.


유투브로 사업을 하고 있으면 3, 4, 5를 하자. 여기서 핵심은 password로 로그인을 하지 않고 패스키를 써서 로그인을 하는 것이다. password는 언젠가 털린다고 가정 하는 것이 맞다.


이 2FA 혹은 passkey 정책은 모든 회사가 모든 방법을 동일하게 지원하지 않는다. 대부분 회사는 전혀 지원을 안하고, 지원 하더라도 위 방법 중에 하나만 지원하기도 한다.

다만 구글은 기술된 모든 방법을 지원하고, 네이버 또한 그러하니, 제발 구글과 네이버는 2FA, 패스키를 쓰도록 하자.


회사마다 패스키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검색하면 나옵니다. 구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Google 계정에 패스키 생성하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유기 2개 쓰는데 동일 네트워크 구성하기 ASUS 공유기 + iptime 공유기, LAN, WIFI 연결

OneDrive가 바꾼 문서, 사진, 바탕화면 기본 폴더 복구하기(레지스트리 사용안하고 복구)

갤럭시북 이온 노트북 소음 잡기